[관련기사] 웅진에너지 기업회생 가능성 (청산가치, 전략적투자자(SI))
웅진에너지, 코웨이 재매각에서도 "회생 답이 없다” 따라서 웅진에너지의 회생절차는 법원과 채권자 의사결정에 달리게 됐다. 웅진에너지는 네 차례에 거쳐 발행한 1135억원의 무보증 회사채 원리금 상환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법정관리로 가면 담보채권자가 기계장치나 건물·공장 등에 우선권을 갖고 있어 대부분 청산하고 남은 게 있어야... 2019.07.26. 아주경제 문서 저장하기 지난해 감사 '의견거절'…은행 채무ㆍ무보증 회사채 원리금 상환도 어려워 태양광산업 쇠퇴로 재무구조 악화…국내 경기 하강기로 기업회생 관심 떨어져 [데일리동방] 국내에서 유일하게 잉곳과 웨이퍼를 만들고 있는 웅진에너지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웅진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던 웅진에너지는 재무안정성이 악화돼 구조조정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태양광산업 전망과 웅진에너지 재무상태 등을 고려했을 때 전략적투자자(SI)가 들어오지 않는 한 경영정상화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청산가치 1000억 남짓···회사채 투자자 회수 불가 웅진에너지는 지난 5월 24일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를 신청했다. 같은 달 28일 법원은 웅진에너지에 포괄적 금지명령과 재산 보전처분을 내렸다. 따라서 채권자들은 담보권을 실행하거나 임의로 부실채권을 매각할 수 없게 됐다. 웅진에너지는 지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해마다 300억원에서 800억원가량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2017년 잠시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지난해 다시 560억원 영업손실, 1000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부채비율도 지난해 474%로 전년 대비 두 배가량 치솟았다. close 웅진에너지는 지난해 감사업무를 맡은 회계법인으로부터 ‘의견거절’을 받았다. 웅진에너지의 재무구조는 지난 3월 신한은행으로부터 조달한 차입금 155억원에 따른 이자를 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