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10대 CXO 기업에 선정됐다. 올해 하반기 제4공장 완전 가동을 앞둔 데다 신규로 5~8공장 건설도 추진 중인 만큼 의약품위탁생산(CDMO)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차지할 것이란 기대가 커진다.

중국 신화통신이 24 글로벌 CXO 기업 매출액과 인수합병(M&A) 등 확장 추세 등을 분석한 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CXO는 'Contract [ ] Organization'의 줄임말로, 위탁 임상(CRO)과 생산(CMO), 개발(CDO), 판매(CSO) 등 신약 개발부터 상업화 등 모든 과정의 아웃소싱을 일컫는다.

이번 조사에선 써모피셔사이언티픽이 1위(58조3900만원)를 차지했다. 써모피셔사이언티픽은 2021년 CRO 기업 PPD를 인수하며 경쟁력을 강화해왔다. 랩코프와 아이큐비아는 각각 2,3위에 올랐다. CDMO 강자로 알려진 론자와 카탈렌트는 6위, 8위에 머물렀다.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양대 산맥’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전통제약사도 CMO·CDMO 사업 줄줄이 진출하며 경쟁 심화
대웅·녹십자·한미·보령·이연·삼일 등 전통제약사들 사업 진출
“국내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글로벌 진출 전략으로 삼아야”

전통제약사도 CMO·CDMO 사업 줄줄이 진출하며 경쟁 심화
대웅·녹십자·한미·보령·이연·삼일 등 전통제약사들 사업 진출
“국내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글로벌 진출 전략으로 삼아야”

로봇,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미래 산업의 떠오르는 별들은 모두 코스닥에 몰려있다.

267개 제약·바이오(헬스산업 포함) 기업을 대상으로 연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의 거래대금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총 1조1655억원을 순매수했다. 전년도 2021년에도 약 1조1900억원치를 사들였다.

주가가 꺾인 2021년 연기금은 국내 주식 23조8270억원를 순매도했다. 

지난해에도 2조5000억원을 정리하는 등 주식비중을 대폭 축소하는 와중에도 제약·바이오 종목은 되레 확대한 것이다.

“국내 바이오의약품 CDMO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 서비스를 확보하고 생산규모를 지속적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내부 성장보다는 외부 기술도입과 M&A(인수합병)를 통한 전략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낮은 최대주주 지분율
경영권 방어 바이오텍

연기금 주주행동주의 펀드
주주 제안 경영권 보호
황금낙하산 조항 폐지

국내 증시 큰손 연기금이 지난해 하락장 속에서도 제약·바이오주 만큼은 꾸준히 매집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267개 제약·바이오(헬스산업 포함) 기업을 대상으로 연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의 거래대금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총 1조1655억원을 순매수했다. 전년도 2021년에도 약 1조1900억원치를 사들였다.

제약바이오 매집 행보는 이례적이다.

주가가 꺾인 2021년 연기금은 국내 주식 23조8270억원를 순매도했다. 지난해에도 2조5000억원을 정리하는 등 주식비중을 대폭 축소하는 와중에도 제약·바이오 종목은 되레 확대한 것이다.

연기금은 안정적으로 실적이 뒷받침한 대형 바이오주 및 상위제약사 중심으로 매수세를 이어갔다. 

연기금이 찜한 제약바이오 종목은 3년 연속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차지했다. 2020년, 2021년 각각 4589억원과 9179억원을 순매수했고, 지난해에도 4737억원을 매집했다.

이어 ▲셀트리온이 3412억원 ▲에스디바이오센서 1180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 897억원 ▲대웅제약 825억원 ▲한미약품 664억원 ▲한미사이언스 563억원 ▲덴티움 374억원 ▲SK바이오팜 337억원 ▲일동제약 249억원 순이었다.

반면, 자금회수에 나선 종목은 유한양행으로 1149억원을 순매도했다. 다음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 440억원 ▲부광약품 207억원 ▲메지온 197억원 ▲오스코텍 149억원 ▲티앤알바이오팹 128억원 ▲지씨셀 127억원 ▲오스템임플란트 124억원 ▲영진약품 115억원 ▲압타바이오 104억원 순으로 자산정리에 나섰다.

KRX헬스케어 지수는 지난해 30% 하락했다.제약바이오 하락세가 본격적된 2021년과 연장해 비교하면 마이너스(-) 52%로 최근 2년간 반토막 이상 하락했다. 코로나 수혜로 급등했던 2020년 상승분을 모두 반납한 셈이다.

작년 제약

2022년 연기금 제약바이오 순매수·순매도 상위 종목 현황. 자료/한국거래소
2022년 연기금 제약바이오 순매수·순매도 상위 종목 현황. 자료/한국거래소


바이오 시가총액(253곳 대상)은 총 197억4000억원으로 전년도 265조7000억원 보다 68조3000억원 가량 증발했다. 1년 새 25% 감소한 액수다.


드럭 디스커버리&디벨로프먼트는 2021년 제약업체의 매출을 기반으로 의약품 관련 매출에 대한 자체 분석을 통해 마련한 50대 제약사 순위를 22일 발표했다.

구체적인 순위선정 기준이는 제공되지는 않았으나 글로벌 제약산업의 흐름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판단돼 소개한다.

기존 피어스파마나 이벨류에이트의 기존 공개되던 자료와 달리, 위탁생산과 개발, 판매 등 전체 의약품 관련 매출 기반으로 데이터를 산출했다. 이에따라 CDMO 기업이 포함됐으며 인구기반 매출이 높은 중국제약사가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전체 순위에서 화이자에 이어 중국의 시노팜의 경우 지난해 2위에 자리했다.

이번이 두번째 순위발표로 이전 2020년 자료 기반으로는 시노팜이 매출 1위다. 

코로나19 백신 효과를 크게 순위권에 오른 모더나 보다 중국의 시노백의 매출 순위가 조금 더 높다.


[인기 글]

[종목분석]웅진에너지(103130)(Google Doc)

[종목]디피씨(026890)

[종목분석]웅진에너지(103130)상장폐지/해결방안

[Blug] List

  • [Keep] 삼성 브랜드 (brand) - [info] 삼성 브랜드 (brand) keycolor Ver.20240521 [Notification] 간접적인 영리추구를 위한 특정한 상품, 서비스, 광고 및 기타 유료 프로모션 자료의 홍보성 글이 아닙니다. 독자에게 특정 주제에 대한 인사이트, 팁, 조언 ...
  • [그룹] 10대기업 - *지난해 말 1350조에서 1400조로 증가1월 부진 만회하며 6개 그룹 시총 증가세 전환이차전지 조정에 포스코는 부진 지속*지난 2월 이후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10대 그룹의 시가총액이 올해 1분기 5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강세와 기업 밸류업 프로...
  • [Tip] 지급정보 > 설정관리 > 싱가포르 세금정보 (Google AdSense) - [Tip] 지급정보 > 설정관리 > 싱가포르 세금정보 (Google AdSense) 최종 Ver. 20240206 [Related Posts] 싱가포르와 한국 조세 조약 여부 [info] Adsense 광고 게재 (신고·납부) [Section.1] 싱가포르 세금정보 ...
  • [Pin Point] Ai 3파전 / 엔비디아 / 트위치 (2024년) - *AI 개발 경쟁 삼파전, 구글 vs 오픈AI vs 메타의 'AI동맹'* 현지 시각 6일, 구글이 최신 대규모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공개하면서 AI 개발 경쟁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구글,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 연합,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