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기술 대장주- 카카오 네이버
'네·카'의 엇갈린 운명…네이버 미소, 카카오 우울
입력 2023.04.20.
카카오는 검찰 수사 등 악재
정보기술(IT) 대장주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실적과 주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네이버는 실적 호조에 생성 인공지능(AI)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나오는 반면 카카오는 악재가 거듭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네이버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평균은 32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10일 추정치(3059억원)에서 약 5% 증가했다.
카카오의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평균은 1261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0.5% 감소했다.
열흘 전 추정치(1300억원)보다 약 3% 줄어든 수준이다.
목표주가도 엇갈리고 있다.
이달 들어
SK증권(26만원→29만원)과
메리츠증권(24만원→26만원)이
네이버의 목표주가를 올려 잡았다.
반면
카카오에 대해선 NH투자증권이 목표주가를 8만2000원에서 8만원으로 내렸다.
증권가는
네이버가 오는 7월 출시할 생성 AI인 ‘서치GPT’(가칭)도 주목하고 있다.
남효지 SK증권 연구원은 “서치GPT를 통해 네이버 쇼핑·페이·지도 등 기존 서비스가 고도화되면 e커머스와 광고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카카오는 악재가 많다.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불거진 시세조종 등 혐의로 이달 초부터 금융당국과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상장 자회사들의 주가 부진도 부담이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 전망 하향에 따른 광고·포털 사업의 기업 가치 하락과 카카오게임즈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등 상장 자회사 주가 부진이 카카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 주가는 이날 0.1% 상승한 19만16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반면 카카오는 1.19% 내린 5만7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네이버·카카오·KT·SKT, 700조원 '초거대 AI' 시대 맞아 인재 육성 속도 낸다
네이버 커넥트재단, 부스트캠프 AI 테크로 인재 1000명 배출
카카오 테크 캠퍼스, 고용노동부 기업 ESG 지원사업 선정
KT 에이블스쿨 취업률 80%…SKT AI 펠로우십 5기 모집
“네이버, 1분기 영업익 기대치 하회 전망”<유진투자證>
서치플랫폼 성장률 부진, 커머스 고성장 전망
하반기 광고시장 성장률 반등 기대
“NAVER, 광고는 인터넷 업체 밸류의 중장기 본질이 아니다”
키움증권은 21일 NAVER에 대해 단기적 측면에서 광고시장은 경기침체 이슈를 반영하면서 부진한 상황으로 관측된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인터넷 업체 밸류가 AI를 근간으로 한 구독경제 확대에 포커스할 것이라는 점과 검색을 근간으로 AI 사업 성공과 직결될 개인화된 라이브 데이터 확보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시 현재 광고 노이즈는 NAVER를 매수할 좋은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AI(인공지능)와 클라우드 등 빅테크 기업의 화두와 전망
광고에 대한 기존 대비 보수적 추정치 적용
광고 시장이 부진한 지금이 매수할 좋은 기회라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