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이다.
주식투자의 기초지표 중 하나로 1주당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볼 수 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Price on Book-value Ratio’의 머리글자를 따서 흔히 ‘PBR’이라고 한다.
주가가 그 회사의 한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한 주당 순자산으로 나누어 구한다.
여기서 순자산(net property)은 부채를 제외한 자산을 말한다.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준비금, 이익잉여금 등의 합계액을 말하는 것으로 자기자본이라고도 한다.
총자산 중 순자산이 많으면 많을수록 재무 내용이 뛰어난 우량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주당 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란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한다.
따라서 주당 순자산이 크면 클수록 기업내용이 충실하다고 볼 수 있다.
기업의 주가가 주당 순자산가치보다 높으면 PBR은 1 이상, 주당 순자산가치가 주가보다 높으면 PBR은 1 이하가 된다.
PBR이 1 이상인 기업은 증권시장에서 ‘고평가 되었다’고 할 수 있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
1 이하인 기업은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큰 편이다.
예를 들어 현재 거래되는 어느 기업의 주가가 1만 원이고, 주당 순자산가치가 2만 원이라면 PBR은 0.5이다.
만약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업의 총주식이 1주라고 하면 1만 원으로 거래되는 주식 전체를 사서 기업의 주인이 된 뒤 기업을 청산할 경우 최소 2만 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런 이유로 PBR은 주식투자의 기초지표 중 하나로 사용된다.
하지만 PBR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가치가 있다고 할 수는 없다.
PBR은 지난 분기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므로 현시점에서의 시황을 반영하기 어렵고 매출채권이나 미수금,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들로 인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PBR은 PER(주가 수익률)와 함께 사용된다.
PBR은 그 회사를 정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반해 PER는 그 회사의 동적인 상태를 파악할 있게 함으로써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여기서 PER(price earnings ratio)는 주가 수익률로 주식의 시가를 1주당 세 공제 후 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즉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1만원이라고 하고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라면 PER은 10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