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s & Themes] PBR 밸류업 (추천 종목 리스트)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Issues & Themes] PBR 밸류업
Keypoint.20240226
post.20240226
|
주가순자산비율(PBR - Price on Book-value Ratio) |
|
PBR는 주가를 BPS로 나눈 것이다.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낸다. |
|
[PBR] 한국 일본 중국 |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PBR, 중국에서는 市净率, 영어권에서는 P/B로 축약표기한다.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시가총액 / 순자산 |
|
[Example] PBR이란? |
|
"(주)별로 안 엄청나"의 주가가 2000원이고 주당순자산이 1500원이라면 주가순자산비율은 얼마가 될까요? 너무나 쉬운 계산이죠? 2000/1500=1.333이니까 "(주)엄청나"의 주가순자산비율은 1.3이 됩니다. |
|
[News] |
|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이다. 주식투자의 기초지표 중 하나로 1주당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볼 수 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Price on Book-value Ratio’의 머리글자를 따서 흔히 ‘PBR’이라고 한다. 주가가 그 회사의 한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한 주당 순자산으로 나누어 구한다. 여기서 순자산(net property)은 부채를 제외한 자산을 말한다.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준비금, 이익잉여금 등의 합계액을 말하는 것으로 자기자본이라고도 한다. 총자산 중 순자산이 많으면 많을수록 재무 내용이 뛰어난 우량기업으로 평가받는다. 주당 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란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한다. 따라서 주당 순자산이 크면 클수록 기업내용이 충실하다고 볼 수 있다. 기업의 주가가 주당 순자산가치보다 높으면 PBR은 1 이상, 주당 순자산가치가 주가보다 높으면 PBR은 1 이하가 된다. PBR이 1 이상인 기업은 증권시장에서 ‘고평가 되었다’고 할 수 있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 1 이하인 기업은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어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큰 편이다. 예를 들어 현재 거래되는 어느 기업의 주가가 1만 원이고, 주당 순자산가치가 2만 원이라면 PBR은 0.5이다. 만약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기업의 총주식이 1주라고 하면 1만 원으로 거래되는 주식 전체를 사서 기업의 주인이 된 뒤 기업을 청산할 경우 최소 2만 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런 이유로 PBR은 주식투자의 기초지표 중 하나로 사용된다. 하지만 PBR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가치가 있다고 할 수는 없다. PBR은 지난 분기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므로 현시점에서의 시황을 반영하기 어렵고 매출채권이나 미수금,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들로 인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PBR은 PER(주가 수익률)와 함께 사용된다. PBR은 그 회사를 정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반해 PER는 그 회사의 동적인 상태를 파악할 있게 함으로써 두 가지 지표가 서로 보완관계에 있다. 여기서 PER(price earnings ratio)는 주가 수익률로 주식의 시가를 1주당 세 공제 후 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즉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1만원이라고 하고 1주당 수익이 1000원이라면 PER은 10이 된다.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
|
상장사가 스스로 자본 효율성을 개선하고 주주환원을 늘려 기업가치를 올리도록 유도하는 게 골자다. 국내 증시가 주요국 대비 저평가돼있음을 뜻하는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한다는 취지다. |
[종목이슈]
[issue] |
|
|
"지주사 재평가 기대…삼성물산·SK 최선호" 정부
NH투자증권
"K-밸류업 프로그램 시작과 함께 그동안의 주주환원 노력과 향후 기업가치 제고 계획이 재평가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0~2022년 주요 8개 지주회사
별도 배당성향은 49.8%에 달한다.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
주가가 저평가 상태라 주주제안 문턱이 상대적으로 낮고,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당장의 의안 통과 가능성보다 지주사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늘어나는 것만으로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설명이다. 지주사 최선호주
|
|
[Data]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 한국거래소 |
|
[Link] PER/PBR/배당수익률 |
|
|
[List] PBR 지수 현황
(2024. 02. 27)
|
지수종류별(1) |
지수종류별(2) |
2023.08 |
2023.09 |
2023.10 |
2023.11 |
2023.12 |
2024.01 |
|
KOSPI |
소계 |
0.94 |
0.89 |
0.83 |
0.92 |
0.96 |
0.91 |
|
KOSPI 200 |
소계 |
0.91 |
0.88 |
0.82 |
0.92 |
0.96 |
0.91 |
|
KOSPI 100 |
소계 |
0.93 |
0.90 |
0.84 |
0.94 |
0.98 |
0.92 |
|
KOSPI 50 |
소계 |
0.94 |
0.91 |
0.85 |
0.95 |
0.99 |
0.93 |
|
제조업 |
소계 |
1.21 |
1.15 |
1.06 |
1.19 |
1.24 |
1.15 |
|
시가총액규모별 |
대형주 |
1.01 |
0.99 |
0.91 |
1.02 |
1.06 |
1.00 |
|
중형주 |
0.73 |
0.64 |
0.59 |
0.64 |
0.64 |
0.62 |
|
|
소형주 |
0.61 |
0.50 |
0.48 |
0.51 |
0.50 |
0.50 |
|
지수명 |
종가 |
대비 |
등락률 |
PER |
선행 PER |
PBR |
배당수익률 |
|
KRX 유틸리티 |
570.60 |
1.63 |
+0.29 |
- |
- |
0.40 |
1.49 |
|
KRX 보험 |
1,885.87 |
84.67 |
-4.30 |
5.24 |
- |
0.44 |
3.38 |
|
KRX 은행 |
770.80 |
28.88 |
-3.61 |
5.36 |
- |
0.44 |
5.06 |
|
KRX 증권 |
736.29 |
20.71 |
-2.74 |
7.35 |
- |
0.48 |
3.23 |
|
KRX 300 금융 |
955.55 |
31.53 |
-3.19 |
5.86 |
- |
0.50 |
4.17 |
|
KRX 철강 |
1,888.17 |
19.45 |
-1.02 |
12.44 |
- |
0.54 |
2.32 |
|
KRX 방송통신 |
672.40 |
6.66 |
-0.98 |
9.43 |
- |
0.59 |
4.80 |
|
KRX 건설 |
674.38 |
4.29 |
-0.63 |
10.98 |
- |
0.61 |
2.06 |
|
KRX 300 자유소비재 |
1,579.68 |
33.00 |
-2.05 |
7.33 |
- |
0.72 |
2.25 |
|
KRX 자동차 |
2,187.23 |
46.24 |
-2.07 |
7.34 |
- |
0.72 |
2.22 |
|
KRX 경기소비재 |
959.41 |
15.30 |
-1.57 |
11.77 |
- |
0.81 |
1.90 |
|
KRX 운송 |
1,022.04 |
1.35 |
+0.13 |
7.05 |
- |
0.86 |
2.30 |
|
KRX 300 필수소비재 |
1,070.61 |
12.45 |
-1.15 |
19.37 |
- |
0.87 |
2.16 |
|
KRX 필수소비재 |
1,088.73 |
12.98 |
-1.18 |
18.56 |
- |
0.87 |
2.22 |
|
KRX 300 소재 |
1,811.42 |
5.29 |
-0.29 |
26.25 |
- |
0.94 |
1.76 |
|
KRX 300 산업재 |
701.05 |
10.54 |
-1.48 |
20.96 |
- |
0.98 |
1.32 |
|
KRX 300 |
1,643.83 |
11.84 |
-0.72 |
19.74 |
- |
1.02 |
1.85 |
|
KRX 에너지화학 |
3,053.42 |
2.38 |
-0.08 |
30.74 |
- |
1.02 |
2.00 |
|
KRX 100 |
5,556.54 |
40.21 |
-0.72 |
21.81 |
- |
1.04 |
1.81 |
|
KTOP 30 |
8,727.96 |
34.23 |
-0.39 |
20.27 |
- |
1.08 |
1.70 |
|
KRX 300 커뮤니케이션서비스 |
1,506.12 |
8.50 |
-0.56 |
26.44 |
- |
1.29 |
1.81 |
|
KR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
1,884.86 |
7.68 |
-0.41 |
72.54 |
- |
1.70 |
0.63 |
|
KRX 300 정보기술 |
2,632.21 |
1.22 |
+0.05 |
- |
- |
1.78 |
0.98 |
|
KRX 정보기술 |
1,605.69 |
0.54 |
+0.03 |
- |
- |
1.78 |
0.99 |
|
KRX 기계장비 |
675.26 |
1.34 |
-0.20 |
53.69 |
- |
2.14 |
0.30 |
|
KRX 반도체 |
3,836.31 |
7.94 |
-0.21 |
154.20 |
- |
2.14 |
1.05 |
|
KRX 헬스케어 |
3,235.76 |
46.16 |
+1.45 |
957.76 |
- |
4.64 |
0.24 |
|
KRX 300 헬스케어 |
2,860.90 |
46.26 |
+1.64 |
197.47 |
- |
5.42 |
0.20 |
[List] 저 PBR 기업
(2024년 2월 3일 기준)
|
종목명 |
부채비율 |
ROE |
EPS |
PBR |
|
현대제철 |
83.71% |
5.34 |
7,267원 |
0.22 |
|
기업은행 |
1,361.59% |
9.3 |
3,078원 |
0.29 |
|
우리금융지주 |
9.68% |
5.31 |
1,625원 |
0.37 |
|
삼성카드 |
275.02% |
8.05 |
5,327원 |
0.42 |
|
D한국조선해양 |
2.75% |
3.43 |
5,305원 |
0.45 |
|
NH투자증권 |
635.53% |
5.08 |
984원 |
0.45 |
|
HMM |
24.58% |
65 |
20,546원 |
0.46 |
|
롯데지주 |
89.23% |
1.30 |
602원 |
0.47 |
|
삼성증권 |
697.84% |
6.34 |
4,227원 |
0.47 |
|
POSCO홀딩스 |
8.43% |
-0.97 |
-5,425원 |
0.48 |
|
미래에셋증권 |
752.38% |
4.26 |
516원 |
0.49 |
|
롯데케미칼 |
58.07% |
-2.65 |
-8,935원 |
0.54 |
|
LG유플러스 |
128.59% |
8.36 |
1,516원 |
0.59 |
|
KT |
104.72% |
5.32 |
2,925원 |
0.59 |
|
현대건설 |
114.86% |
5.59 |
3,083원 |
0.61 |
|
LG디스플레이 |
298.06% |
-35.47 |
-8,919원 |
0.61 |
|
한국금융지주 |
48.81% |
12.98 |
10,779원 |
0.62 |
|
한국전력 |
493.92% |
-73.21 |
-39,407원 |
0.63 |
|
SK스퀘어 |
1.89% |
6.07 |
3,062원 |
0.64 |
|
하나금융지주 |
34.52% |
6.29 |
3,856원 |
0.66 |
|
신한지주 |
40.41% |
4.71 |
2,352원 |
0.69 |
|
현대모비스 |
33.32% |
6.22 |
16,684원 |
0.71 |
|
삼성생명 |
1,491.60% |
2.38 |
3,083원 |
0.72 |
|
현대차 |
49.60% |
6.83 |
13,367원 |
0.73 |
|
GS |
19.19% |
8.21 |
4,704원 |
0.75 |
|
HD현대 |
56.38% |
3.92 |
2,776원 |
0.75 |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
37.08% |
5.47 |
2,126원 |
0.77 |
|
KB금융 |
25.68% |
7.21 |
4,095원 |
0.79 |
|
SK |
79.08% |
3.44 |
7,287원 |
0.79 |
|
삼성물산 |
65.68% |
5.59 |
7,754원 |
0.82 |
|
삼성화재 |
703.11% |
8.71 |
22,572원 |
0.82 |
|
포스코인터내셔널 |
174.40% |
8.92 |
2,346원 |
0.83 |
|
SK이노베이션 |
22.43% |
2.88 |
4,778원 |
0.83 |
|
SK하이닉스 |
52.59% |
4.69 |
3,833원 |
0.87 |
|
DB손해보험 |
899.79% |
17.36 |
13,850원 |
0.89 |
|
기아 |
76.48% |
7.51 |
4,819원 |
0.92 |
|
대한항공 |
204.21% |
21.97 |
4,819원 |
0.92 |
|
삼성중공업 |
314.86% |
-20.06 |
-886원 |
0.99 |
|
넷마블 |
52.32% |
-10.14 |
-6,210원 |
0.99 |
|
SK텔레콤 |
154.56% |
8.18 |
3,973원 |
1.0 |
|
종목명 |
부채비율 |
ROE |
EPS |
PBR |
|
HDC 현대산업개발 |
137.75% |
1.23 |
555원 |
0.22 |
|
태광산업 |
16.75% |
-0.79 |
-23,558원 |
0.24 |
|
이마트 |
93.16% |
10.58 |
37,693원 |
0.26 |
|
롯데쇼핑 |
166.86% |
-3.9 |
-13,122원 |
0.28 |
|
서연이화 |
69.44% |
7.18 |
1,835원 |
0.3 |
|
코리안리 |
407.21% |
6.44 |
1,060원 |
0.32 |
|
현대백화점 |
85.05% |
3.93 |
6,874원 |
0.32 |
|
한화투자증권 |
600.93% |
-1.37 |
-107원 |
0.32 |
|
미래에셋생명 |
2,644.76% |
3.43 |
283원 |
0.33 |
|
한화생명 |
1,907.45% |
4.29 |
408원 |
0.33 |
|
유안타증권 |
756.3% |
2.59 |
182원 |
0.33 |
|
삼양홀딩스 |
15.86% |
4.49 |
8,925원 |
0.34 |
|
KCC |
79.22% |
0.15 |
826원 |
0.35 |
|
GS건설 |
158.24% |
4.93 |
2,812원 |
0.36 |
|
DGB금융지주 |
34.59% |
4.66 |
888원 |
0.37 |
|
종목명 |
부채비율 |
ROE |
EPS |
PBR |
|
DL이앤씨 |
77.64% |
8.05 |
7,602원 |
0.37 |
|
동양생명 |
1,837.34% |
3.9 |
601원 |
0.39 |
|
세아베스틸지주 |
15.87% |
-0.04 |
-16원 |
0.39 |
|
BNK금융지주 |
29.33% |
5.76 |
937원 |
0.4 |
|
현대홈쇼핑 |
20.57% |
4.43 |
5,627원 |
0.4 |
|
한국가스공사 |
642.92% |
11.07 |
9,239원 |
0.41 |
|
넥센타이어 |
101.57% |
-2.52 |
-377원 |
0.41 |
|
고려제강 |
20.58% |
3.88 |
1,805원 |
0.41 |
|
KCC글라스 |
50.71% |
6.79 |
6,033원 |
0.41 |
|
현대위아 |
80.72% |
-0.35 |
-399원 |
0.42 |
|
SK네트웍스 |
151.59% |
0.3 |
25원 |
0.44 |
|
DL |
19.9% |
4.89 |
6,501원 |
0.44 |
|
KG스틸 |
77.63% |
37.97 |
5,265원 |
0.45 |
|
국도화학 |
61.3% |
12.9 |
11,001원 |
0.46 |
|
이수화학 |
89.31% |
2.99 |
555원 |
0.47 |
|
종목명 |
부채비율 |
ROE |
EPS |
PBR |
|
롯데지주 |
89.23% |
1.3 |
602원 |
0.47 |
|
세방전지 |
21.7% |
4.04 |
3,461원 |
0.48 |
|
한국앤컴퍼니 |
10.17% |
2.2 |
623원 |
0.49 |
|
대신증권 |
561.73% |
4.24 |
997원 |
0.49 |
|
한섬 |
25.47% |
9.66 |
5,078원 |
0.49 |
|
오리온홀딩스 |
6.55% |
1.02 |
305원 |
0.51 |
|
SK가스 |
141.35% |
13.67 |
29,133원 |
0.51 |
|
풍산 |
66.34% |
9.96 |
6,258원 |
0.51 |
|
NHN |
7.94% |
4.57 |
2,107원 |
0.51 |
|
두산 |
57.46% |
5.63 |
8,194원 |
0,.53 |
|
효성 |
15.46% |
0.55 |
681원 |
0.54 |
|
신세계 |
110.77% |
6.41 |
25,148원 |
0.55 |
|
LX인터내셔널 |
63.8% |
25.69 |
13,637원 |
0.56 |
|
코오롱인더 |
104.91% |
2.81 |
2,065원 |
0.56 |
|
종목명 |
부채비율 |
ROE |
EPS |
PBR |
|
SK디스커버리 |
54.02% |
15.99 |
7,980원 |
0.56 |
|
대우건설 |
223% |
8.91 |
613원 |
0.56 |
|
롯데웰푸드 |
85.89% |
1.14 |
2,359원 |
0.57 |
|
키움증권 |
867.51% |
12.54 |
16,977원 |
0.58 |
|
CJ대한통운 |
128.35% |
5.86 |
8,792원 |
0.58 |
|
OCI홀딩스 |
46.89% |
5.16 |
5,498원 |
0.59 |
|
신영증권 |
593.92% |
5.43 |
4,547원 |
0.59 |
|
한일시멘트 |
43.07% |
5.01 |
945원 |
0.6 |
|
애경케미칼 |
52.4% |
8.25 |
1,157원 |
0.61 |
|
대상 |
121.84% |
6.78 |
2,353원 |
0.61 |
|
영풍 |
39.7% |
-2.39 |
-23,305원 |
0.62 |
|
아이에스동서 |
127.99% |
14.62 |
6,166원 |
0.62 |
|
F&F홀딩스 |
0.44% |
1.24 |
607원 |
0.62 |
|
대한해운 |
111.4% |
10.64 |
342원 |
0.62 |
|
빙그레 |
26.73% |
5.29 |
3,094원 |
0.63 |
|
종목명 |
부채비율 |
ROE |
EPS |
PBR |
|
현대해상 |
1,166.22% |
12.51 |
6,274원 |
0.64 |
|
효성중공업 |
218.47% |
4.78 |
5,408원 |
0.66 |
|
SNT모티브 |
39.23% |
10.55 |
6,225원 |
0.66 |
|
화신 |
105.13% |
12.2 |
1,224원 |
0.67 |
|
JB금융지주 |
36.39% |
15.64 |
1,727원 |
0.68 |
|
LX홀딩스 |
1.16% |
8.76 |
1,038원 |
0.68 |
|
팬오션 |
66.48% |
16.95 |
1,265원 |
0.69 |
|
롯데정밀화학 |
19.36% |
19.96 |
14,982원 |
0.69 |
|
한국단자 |
44.49% |
5.38 |
3,940원 |
0.7 |
|
GS리테일 |
93.47% |
1.5 |
587원 |
0.7 |
|
SK디앤디 |
179.21% |
11.05 |
3,056원 |
0.7 |
|
에스엘 |
29.27 |
11.61 |
3,477원 |
0.72 |
|
DI동일 |
45.9 |
4.39 |
816원 |
0.74 |
|
한화 |
220.87% |
8.26 |
2,297원 |
0.75 |
|
동아에스티 |
68.93% |
1.35 |
1,047원 |
0.78 |
|
종목명 |
부채비율 |
ROE |
EPS |
PBR |
|
바이오노트 |
4.74% |
15.6 |
1,594원 |
0.83 |
|
동원F&B |
99.31% |
10.61 |
3,812원 |
0.84 |
|
SBS |
73.23% |
18.51 |
6,595원 |
0.87 |
|
HD현대건설기계 |
84.58% |
8.6 |
5,439원 |
0.88 |
|
세아제강지주 |
16.52% |
3.21 |
5,233원 |
0.89 |
|
동원산업 |
64% |
7.99 |
4,961원 |
0.9 |
|
롯데렌탈 |
449.33% |
7.24 |
2,129원 |
0.92 |
|
현대엘리베이터 |
92.54% |
10.08 |
2,921원 |
0.92 |
|
쿠쿠홀딩스 |
9.96% |
7.02 |
1,125원 |
0.95 |
|
DN오토모티브 |
144.8% |
5.72 |
3,789원 |
0.95 |
|
롯데손해보험 |
3,895.59% |
-8.7 |
-203원 |
0.98 |
|
동아쏘시오홀딩스 |
48.34% |
1.37 |
1,400원 |
0.98 |
|
HL만도 |
89.78% |
-0.56 |
-181원 |
0.99 |
|
농심 |
27.47% |
3.72 |
12,687원 |
0.99 |
|
DB하이텍 |
29.48% |
40.72 |
12,548원 |
1 |
|
CJ |
18.43% |
3.81 |
3,004원 |
1.01 |
[Kodex] 삼성펀드
저PBR 종목, 잘 골라서 투자하자! 수익성/배당 지표 알아보는 법
Posted on 2024/02/20
|
지난 달 17일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방안으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예고한 이후로 ‘저평가주’, ‘저PBR’ 종목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코스피도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고, 다양한 저PBR주가 주목을 받으며 견고한 주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실 한국증시 저평가는 201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이슈였는데요, 다가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와 함께 저PBR주가 더욱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저PBR주에 투자해야 할까요?
오늘은 저PBR주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떻게 선별해서 투자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Kodex가 선정한 밸류업 ETF 5종이 무엇인지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란? |
|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부르는 한국증시 저평가에 대해 개선하겠다고 나선 것이 이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요지입니다.
경제발전, 성장전망이 유사한 국가에 비해서 한국의 PBR은 0.87배로, 낮은 수준입니다. 지난해 발표된 자본시장연구원의 연구는 *1) 저조한 수익성/성장성 2) 주주환원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이라고 짚었습니다.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분석’. 김준석/강소현, 2023.5월 인용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증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 24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CEO 간담회에서 밝힌 아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 계획을 바탕으로 세부 내용을 개발할 것으로 보입니다.
(1) (공시)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주요 투자지표(PBR·ROE 등)를 시가총액·업종별로 비교공시 (2) (공시) 상장 기업들이 기업가치를 개선할 수 있는 계획을 기재하도록 권고 (3) (상품) 저PBR 지수(주주가치 개선 우수기업 등) 개발 및 ETF 도입 (4) (수급) 공적연금 활용도 제고 관건(일본은 공적연금과 BOJ에서 BM으로 설정)
특히, PBR이 1이하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전체 상장사의 저평가 기업 비중을 낮춘다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목표입니다. |
저PBR주란? |
|
그렇다면 PBR은 무엇일까요? PBR이란, 주가순자산배율입니다. 이 값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값이에요. 시가총액에서 주식 수를 나누면 주가가 되듯이, 기업의 순자산에서 주식 수를 나누면 주당순자산이 됩니다.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값이기 때문에, 1주당 자기자본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
|
|
|
이 비율은 무엇을 뜻할까요? 이 비율이 1이라는 것은 장부가액에 맞춰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에요. 해당 비율이 1보다 높으면 주가가 과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1보다 낮을 경우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보다 낮은 비율인 기업을 저PBR주라고 부릅니다. |
PBR이 낮은 ETF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
|
개별 종목에서도 저PBR주가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ETF에서도 PBR이 낮은 상품을 확인하고 싶은 투자자분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요. Kodex는 지난 2021년부터 홈페이지에서 ‘ETF 수익성/배당’ 지표를 통해 PBR이 낮은 ETF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익성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시가총액과 대비해 장부가치가 낮은 저PBR 종목을 알아보고 싶다면, 누구나 회원가입 절차 없이 https://m.samsungfund.com/etf/product/library/etfper.do 에서 해당 내용을 찾아보세요. |
|
|
|
위 화면 이미지를 확인해보시면, 각 일자별로 ETF의 수익성과 배당 지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이 높은 순과 낮은 순, PER(주가수익률) 높은 순과 낮은 순, PBR 높은 순과 낮은 순으로 정렬해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배당수익률, PER, PBR이 어떤 것이었는지 깜빡했다면? |
|
배당수익률(%) |
|
(1주당 배당금/주가x100) 배당은 일정 기간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말하며, 배당수익률은 1주당 주식가격 대비 배당금의 비율 |
|
Price Earning Ratio(PER), 주가수익비율 |
|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례하여 현재 주가가 얼마나 나오는지 나타내는 지표. (적자 종목으로 인해 산출값이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 N/A로 표기함) |
Kodex Pick!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수혜주 5종 ETF |
|
이번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은 어떤 종목일까요? Kodex는 보험/은행/증권과 같은 저PBR ETF 5가지를 꼽았습니다.
2월 16일 기준, Kodex 보험 ETF의 PBR은 0.40, Kodex 밸류PLUS ETF는 0.43으로, Kodex ETF 중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Kodex 은행 ETF(0.45), Kodex 고배당 ETF(0.46), Kodex 증권 ETF(0.51) 또한 Kodex ETF 중 낮은 수준의 PBR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
|
<밸류업KODEX ETF 5종PBR 현황> |
|
|
ETF명 |
PBR(배) |
|
Kodex 보험 |
0.40 |
|
Kodex 밸류PLUS |
0.43 |
|
Kodex 은행 |
0.45 |
|
Kodex 고배당 |
0.46 |
|
Kodex 증권 |
0.51 |
[ETF] 저 PBR
|
상품명 |
배당수익률 |
PER |
PBR |
|
Kodex 은행 |
5.92 |
5.16 |
0.43 |
|
Kodex 고배당 |
5.56 |
5.49 |
0.46 |
|
Kodex 보험 |
4.12 |
5.10 |
0.40 |
|
Kodex 배당가치 |
4.07 |
7.38 |
0.60 |
|
Kodex 배당성장 |
3.67 |
4.71 |
0.58 |
|
Kodex MSCI밸류 |
3.62 |
7.15 |
0.49 |
|
Kodex 증권 |
3.61 |
7.50 |
0.50 |
|
Kodex 200 가치저변동 |
3.37 |
8.77 |
0.65 |
|
Kodex 밸류PLUS |
3.16 |
5.64 |
0.43 |
|
Kodex 철강 |
2.80 |
11.80 |
0.53 |
|
Kodex 퀄리티PLUS |
2.73 |
7.36 |
0.72 |
|
Kodex 필수소비재 |
2.72 |
18.58 |
0.85 |
|
Kodex 운송 |
2.69 |
6.28 |
0.77 |
|
Kodex 최소변동성 |
2.55 |
17.27 |
0.88 |
|
Kodex 자동차 |
2.45 |
7.35 |
0.75 |
|
Kodex 200중소형 |
2.36 |
10.61 |
0.68 |
|
Kodex 200 동일가중 |
2.33 |
14.64 |
0.73 |
|
Kodex MSCI KOREA ESG유니버설 |
2.28 |
18.65 |
0.92 |
|
Kodex K-친환경선박액티브 |
2.27 |
18.10 |
0.73 |
|
Kodex 200ESG |
2.26 |
21.11 |
0.79 |
|
Kodex MSCI퀄리티 |
2.20 |
10.33 |
1.42 |
|
Kodex 200exTOP |
2.16 |
19.74 |
0.85 |
|
Kodex Fn멀티팩터 |
2.15 |
13.81 |
0.86 |
|
Kodex 200 |
2.11 |
18.29 |
0.97 |
|
Kodex 코스피100 |
2.09 |
19.60 |
0.98 |
|
Kodex 경기소비재 |
2.02 |
11.79 |
0.80 |
|
Kodex MSCI KOREA |
2.00 |
18.92 |
1.05 |
|
Kodex 건설 |
1.96 |
10.98 |
0.62 |
|
Kodex KRX300 |
1.96 |
19.57 |
1.03 |
|
Kodex 탄소효율그린뉴딜 |
1.95 |
17.05 |
1.03 |
|
Kodex 코스피 |
1.95 |
18.69 |
0.95 |
|
Kodex 코스피대형주 |
1.89 |
21.55 |
1.06 |
|
Kodex 혁신기술테마액티브 |
1.86 |
18.38 |
1.04 |
|
Kodex KTOP 30 |
1.72 |
18.82 |
1.05 |
|
Kodex 삼성그룹 |
1.67 |
13.90 |
1.13 |
|
Kodex K-미래차액티브 |
1.65 |
15.55 |
1.08 |
|
Kodex 삼성그룹밸류 |
1.60 |
14.16 |
1.16 |
|
Kodex 에너지화학 |
1.60 |
30.76 |
1.01 |
|
Kodex FnTop10동일가중 |
1.54 |
16.97 |
1.23 |
|
Kodex MSCI모멘텀 |
1.52 |
26.09 |
1.17 |
|
Kodex K-로봇액티브 |
1.34 |
40.89 |
1.70 |
|
Kodex KRX기후변화솔루션 |
1.29 |
24.29 |
1.11 |
|
Kodex Fn시스템반도체 |
1.10 |
48.32 |
2.28 |
|
Kodex 반도체 |
1.07 |
167.22 |
2.16 |
|
Kodex IT |
1.01 |
N/A |
1.78 |
|
Kodex 모멘텀PLUS |
0.96 |
13.40 |
1.63 |
|
Kodex 게임산업 |
0.94 |
N/A |
1.38 |
|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 |
0.88 |
11.12 |
1.07 |
|
Kodex Fn성장 |
0.87 |
69.98 |
1.99 |
|
Kodex 2차전지핵심소재 10 Fn |
0.72 |
71.29 |
2.25 |
|
Kodex K-메타버스액티브 |
0.72 |
N/A |
1.50 |
|
Kodex AI반도체핵심장비 |
0.66 |
55.26 |
5.04 |
|
Kodex 미디어&엔터테인먼트 |
0.64 |
72.97 |
1.61 |
|
Kodex Fn K-뉴딜디지털플러스 |
0.62 |
43.31 |
1.76 |
|
Kodex 코스닥글로벌 |
0.60 |
79.06 |
2.82 |
|
Kodex 2차전지산업 |
0.59 |
55.65 |
1.80 |
|
Kodex K-이노베이션 액티브 |
0.49 |
47.74 |
1.85 |
|
Kodex 코스닥 150 |
0.40 |
158.76 |
3.37 |
|
Kodex 기계장비 |
0.32 |
58.16 |
2.08 |
|
Kodex 헬스케어 |
0.25 |
766.71 |
4.29 |
|
Kodex 바이오 |
0.21 |
N/A |
3.28 |
|
Kodex Fn웹툰&드라마 |
0.09 |
N/A |
1.33 |
|
ETF 명 |
위험 등급 |
합성 총 보수 (연) |
|
Kodex 증권 |
2등급 (높은 위험) |
0.469% 2023년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353% 발생 |
|
Kodex 은행 |
2등급 (높은 위험) |
0.3161% 2023년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149% 발생 |
|
Kodex 고배당 |
3등급 (다소 높은 위험) |
0.3593% 2023년도 기준 증권거래비용 0.137% 발생 |
|
Kodex 보험 |
2등급 (높은 위험) |
0.4665% 2023년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538% 발생 |
|
Kodex 밸류PLUS |
2등급 (높은 위험) |
0.3498% 2023년도 기준 증권거래비용 0.0878%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