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s-R] 네이버 2024년 전망 (Naver-035420)
Keypoint.20240216
[NAVER Brand]
|
|
|
[Summary]
|
1. 실적분석
-
2023년 4분기 실적
-
순수 영업활동(EBITDA)
-
사업부 현황
2. 주가
-
차트
-
외국인 매매동향 (보유비율)
-
모멘텀 체크포인트
-
치지직(개인방송 플랫폼)
-
웹툰(나스닥 상장)
-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
3. 전망
|
1. 실적(Earnings Release)
2023 4Q NAVER 실적발표 (2024. 2. 2.)
|
네이버는 연결기준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2조5370억원과 4055억원을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기대비 3.8% 전년동기대비 11.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6.7% 전년동기대비 20.5% 상승했다
|
2024. 2. 2.
네이버 주가 급등
221,500,00원
|
|
2023년 4분기 실적 (Earnings Release)
[ 자료받기 ]
|
실적요약
|
-
4분기 매출액은 커머스, 핀테크, 클라우드 등 주요 사업부문의 성장으로 YoY 11.7%*, QoQ 3.8% 증가
-
조정 EBITDA**는 콘텐츠와 커머스 부문의 수익 개선으로 YoY 19.2%, QoQ 5.3% 증가하여 사상 최대 규모 기록
|
단위: 십억원
|
4Q22
|
3Q23
|
4Q23
|
Y/Y
|
Q/Q
|
FY2022
|
FY2023
|
Y/Y
|
매출액
|
2,271.7
|
2,445.3
|
2,537.0
|
11.7%
|
3.8%
|
8,220.1
|
9,670.6
|
17.6%
|
서치플랫폼
|
916.4
|
898.5
|
928.3
|
1.3%
|
3.3%
|
3,568.0
|
3,589.1
|
0.6%
|
커머스
|
486.8
|
647.4
|
660.5
|
35.7%
|
2.0%
|
1,801.1
|
2,546.6
|
41.4%
|
핀테크
|
319.9
|
340.8
|
356.0
|
11.3%
|
4.5%
|
1,186.6
|
1,354.8
|
14.2%
|
콘텐츠
|
437.5
|
434.9
|
466.3
|
6.6%
|
7.2%
|
1,261.5
|
1,733.0
|
37.4%
|
클라우드
|
111.1
|
123.6
|
125.9
|
13.3%
|
1.8%
|
402.9
|
447.2
|
11.0%
|
영업비용
|
1,935.3
|
2,065.1
|
2,131.5
|
10.1%
|
3.2%
|
6,915.4
|
8,181.8
|
18.3%
|
조정 EBITDA
|
486.6
|
550.6
|
580.0
|
19.2%
|
5.3%
|
1,802.8
|
2,133.8
|
18.4%
|
조정 EBITDA 이익률 (%)
|
21.4%
|
22.5%
|
22.9%
|
1.4%p
|
0.3%p
|
21.9%
|
22.1%
|
0.1%p
|
영업이익
|
336.5
|
380.2
|
405.5
|
20.5%
|
6.7%
|
1,304.7
|
1,488.8
|
14.1%
|
영업이익률 (%)
|
14.8%
|
15.5%
|
16.0%
|
1.2%p
|
0.4%p
|
15.9%
|
15.4%
|
-0.5%p
|
당기순이익
|
131.8
|
356.2
|
301.8
|
129.1%
|
-15.3%
|
673.2
|
988.4
|
46.8%
|
당기순이익률 (%)
|
5.8%
|
14.6%
|
11.9%
|
6.1%p
|
-2.7%p
|
8.2%
|
10.2%
|
2.0%p
|
네이버 2023년 4분기 실적
|
-
매출액 : 2조 5,370억 원 ( 전년 비 +11.7% )
-
영업이익 : 4,055억 원 ( 전년 비 +20.5% )
-
영업이익률 : 16% ( 전년 비 +1.2% )
|
영업이익 (단위 : 십억 원)
|
|
조정 EBITDA (단위 : 십억 원)
|
|
콘텐츠와 커머스 부문 수익 개선
전년 비 19.2%, 전분기 대비 5.3% 증가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
|
(단위: 십억 원, %)
|
사업 부문
|
조정*
|
합계
(연결)
|
서치플랫폼
|
커머스
|
핀테크
|
콘텐츠
|
클라우드
|
4Q 부문별 매출 (A)
|
935.6
|
662.7
|
393.7
|
541.6
|
147.6
|
(144.2)
|
2,537.0
|
- 외부 매출
|
928.3
|
660.5
|
356.0
|
466.3
|
125.9
|
-
|
2,537.0
|
- 내부 매출
|
7.3
|
2.2
|
37.7
|
75.3
|
21.7
|
(144.2)
|
-
|
4Q 부문별 손익 (B)
|
514.6
|
20.5
|
(31.5)
|
(96.7)
|
(1.5)
|
405.5
|
4Q 부문별손익률(C)
[C = B / A]
|
32.2%
|
5.2%
|
-
|
-
|
-
|
16.0%
|
(단위: 십억 원, %)
|
사업 부문
|
조정*
|
합계
(연결)
|
서치플랫폼
|
커머스
|
핀테크
|
콘텐츠
|
클라우드
|
4Q 부문별 매출 (A)
|
3,635.7
|
2,546.9
|
1,499.0
|
2,023.2
|
533.9
|
(567.9)
|
9,670.6
|
- 외부 매출
|
3,589.1
|
2,546.6
|
1,354.8
|
1,733.0
|
447.2
|
-
|
9,670.6
|
- 내부 매출
|
46.6
|
0.2
|
144.3
|
290.2
|
86.7
|
(567.9)
|
-
|
4Q 부문별 손익 (B)
|
1,967.2
|
108.0
|
(229.4)
|
(348.2)
|
(8.9)
|
1,488.8
|
4Q 부문별손익률(C)
[C = B / A]
|
31.8%
|
7.2%
|
-
|
-
|
-
|
15.4%
|
서치플랫폼
|
검색 , 디스플레이 , 기타 연관 서비스
|
|
-
모바일 통합검색 개편 , 광고상품 UI 개선에 따른 CTR 이 향상되며 검색은 견조한 성장세 지속
-
11 월 개편된 네이버 앱의 홈피드 , 클립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추천 기반의 초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이용자 경험이 수익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집중할 계획
-
11 월말 Cue: 의 PC 통합검색 적용 , 24 년 모바일로 테스트 확장할 계획 . 1 월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 를 활용한 광고 모델인 CLOVA for AD 의 파일럿 테스트 시작 (w/Nike)
|
커머스
|
커머스 광고 , 중개 및 판매 , 멤버십
|
|
|
핀테크
|
페이 , 플랫폼 서비스 등
|
|
|
콘텐츠
|
웹툰 , SNOW, 기타 등
|
|
[웹툰]
|
[스노우]
|
클라우드
|
B2B(NCP/ 웍스 ), 기타 클로바 랩스 등
|
|
-
3 분기 NCP 매출 인식 변경 효과에 따른 높은 기저에도 불구, B2B 는 하이퍼클로바 (LLM) 사용료 매출 발생 , 라인웍스 유료 ID 수 확대가 지속되며 YoY 13.7%, QoQ 3.3% 성장한 1,141 억원 기록
|
[사업부문별 요약]
커머스 : 광고, 중개, 멤버십
|
AI 기반의 고도화된 추천, 검색으로 개인화된 쇼핑을 제공하면서 계속해서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를 통해 많은 쇼핑이 이루어지고 협업도 활발함을 엿볼 수 있습니다.
|
핀테크 : 페이, 플랫폼 서비스
|
특히 4분기 결제액은 16.3조 원을 기록하며 외부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데요. 아마 최근에 광고도 보셨을 겁니다! 네이버 페이 전월세 갈아타기 서비스 등 사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콘텐츠 : 웹툰, SNOW, 기타 등
|
글로벌 웹툰이 연간 EBITDA 흑자 전환에 성공했는데요. 올해 나스닥 상장 목표로 움직이고 있는 웹툰. 기대대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순항 중에 있습니다.
|
클라우드 : B2B(NCP), 클로바/랩스 등
|
이 사업 부문이 제가 가장 주목한 부분인데요. 지난번에 선보인 AI 하이퍼클로바가 B2B에서 사용료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한 점입니다. 한국어 특화 AI기술이기 때문에 점점 우리나라 기업들로 스며들 것이라 저는 보고 있습니다.
|
2. 주가
트위치 플랫폼이 한국에서 철수하게 되면서 네이버에서 개인방송 플랫폼을 출시했는데요. 현재는 베타 버전으로 출시하여 운영 중에 있지만 출시 1개월 만에 이용자 130만 명을 기록하는 등 트위치에서 나온 스트리머들이 계속해서 치지직으로 넘어오고 있습니다.
|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YoY 9.3% 성장한 4,440억 원 기록. 연간 EBITDA 흑자 전환
영상화 된 IP의 흥행으로 원작유입 효과 발생 및 제작 매출 증가. AI 개인화 추천 및 CRM 등 플랫폼 고도화로 ARPPU 상승
|
23년 흑자 전환 후 24년도 나스닥 상장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었는데요. 이번 4분기에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상장 준비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5월 최고재무책임자는 "현재 수준으로 이용자와 거래액이 성장하고, 연말까지 흑자로 전환한다면 내년에 성공적 상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기업 가치는 시장에서 5조 원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 또한 올해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3분기 NCP 매출 인식 변경 효과에 따른 높은 기저에도 불구, B2B는 하이퍼클로바(LLM) 사용료 매출 발생, 라인웍스 유료 ID수 확대가 지속되며 YoY 13.7%, QoQ 3.3% 성장한 1,141억원 기록
|
B2B 대상으로 네이버 최대규모 AI인 하이퍼클로바X 유료화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아직은 작은 부분이나 점차 대상 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적으로 트렌드로 구글의 바드나 OpenAI의 ChatGPT 등이 있지만 한국어 특화인 만큼 한국 내에서 입지가 단단해질 것으로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구글이라는 검색플랫폼이 있지만 네이버를 편하다는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계속 사용하는 것처럼 그런 방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
3. Business Summary (2023/12/27)
[투자의견 컨센서스] 2024/02/15
Buy
|
투자의견
|
목표주가
|
EPS
|
PER
|
추정기관수
|
강력매수
|
4.0
|
292,478
|
8,755
|
23.2
|
23
|
[기업가치추정]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
동사는 국내 1위 포털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 쇼핑, 디지털 간편결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공/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비롯한 다양한 IT 인프라 및 기업향 솔루션 제공을 확대해가고 있음.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웹툰, 스노우, 네이버제트 등 총 98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인공지능, 로보틱스 등 미래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플랫폼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고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9% 증가, 영업이익은 11.9% 증가, 당기순이익은 14.2% 증가. 금리 인상 기조가 종료되면서 내년 광고 경기의 회복이 예상되고, 커머스 설루션 사업 확대 등에 따른 성장이 기대됨. 동사는 글로벌 빅테크에 맞서 AI의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을 창출할 수 있으며 검색과 광고, 커머스에서 손익 개선을 이룰 것으로 예상됨.
|
[최근연혁]
날짜
|
내용
|
2023/06/01
|
네이버클라우드-웍스모바일 합병 완료
|
2023/03/22
|
경영진의 변동 : 기타비상무이사 변대규 재선임
|
2023/01/01
|
미국 C2C 패션 플랫폼 회사 POSHMARK, INC. 인수
|
2022/05/01
|
본점소재지 변경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95(1784)
|
2022/03/14
|
대표이사 변동 : 대표이사 최수연 선임, 대표이사 한성숙 중도퇴임
|
[관계사 현황] 12개 관계사 | 2022/12
관계사
|
지분율
|
네이버랩스
|
100.00
|
네이버아이앤에스
|
100.00
|
네이버웹툰컴퍼니
|
100.00
|
네이버클라우드
|
100.00
|
엔비전스
|
100.00
|
오디언소리
|
100.00
|
스노우
|
82.96
|
네이버파이낸셜
|
69.00
|
웍스모바일
|
62.59
|
네이버핸즈
|
50.80
|
아이피엑스
|
30.00
|
크림
|
5.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