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ms] PDF(Portfolio Deposit File)란?
[Terms] PDF(Portfolio Deposit File)란?
PDF란?
-
PDF(Portable Document Format)
-
PDF(Portfolio Deposit File)
[네이버 지식백과]
[Terms] PDF(Portfolio Deposit File)란?
PDF란?
PDF(Portable Document Format)
PDF(Portfolio Deposit File)
[네이버 지식백과]
PDF(Portable Document Format) |
미국 어도비시스템즈(Adobe Systems)에서 만든 문서파일 유형(포맷)이다. |
|
PDF(Portfolio Deposit File) |
ETF를 구성하고 있는 종목을 담은 '자산구성내역'이므로, 특정 ETF가 어떤 종목을 얼만큼 보유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표입니다. ETF 한 종목이 담고 있는 개별 종목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죠. |
|
ETF(Exchange Traded Fund) |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KOSPI200, KOSPI50과 같은 특정지수의 수익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이다. 최초의 상장지수펀드는 S&P500지수 펀드로 1993년 1월 미국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10월 14일부터 상장지수펀드의 매매가 시작됐다. 2002년 처음으로 도입된 ETF는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돼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다. |
ETF 종류 |
대표적인 브랜드 ETF
|
스타일 ETF
|
섹터 ETF
|
레버리지 ETF [leveraged ETF] |
인버스 ETF [Inverse ETF] |
액티브 ETF [active ETF] |
합성ETF [Synthetic Exchange Traded Fund.] |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방식에 따라 실물ETF와 합성ETF로 구분
|
채권 ETF |
국고채ETF |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가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해 이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2024년 1월 10일 11개 비트코인 현물 ETF의 상장 및 거래를 승인했다. |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가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해 이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말한다. ETF는 증시에 상장해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로, 여기에는 주식뿐 아니라 금, 원유 등 원자재 등의 다양한 자산을 담을 수 있다. 비트코인 ETF를 사면 비트코인을 담은 펀드를 사는 것이어서 실질적으로 비트코인을 사는 것과 같다. |